🚫 경매에서 실패하는 5가지 대표 유형
– 초보자가 꼭 피해야 할 실수들
경매는 잘하면 기회지만, 준비 없이 뛰어들면 금전적 손실이나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.
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자주 반복되는 초보자의 경매 실패 유형 5가지를 소개하고,
각각에 대한 예방책도 함께 정리해드릴게요.
❌ 유형 1. 권리분석 없이 입찰
“대충 깨끗해 보이길래…” 권리분석을 소홀히 하면 임차인 인도 거부, 대항력 있는 세입자, 말소되지 않는 권리에 발목 잡힐 수 있어요.
- ✔️ 반드시 등기부등본 + 현황조사서 + 전입세대열람 확인
- ✔️ 말소기준권리와 임차인의 대항력, 확정일자 비교
❌ 유형 2. 명도 비용 계산 누락
“낙찰받으면 바로 이사 들어가면 되지!” 막상 들어가려고 보니 점유자가 버티고 있어요. 명도 협상비, 강제집행비, 소송비용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✔️ 점유자의 실거주 여부 확인
- ✔️ 이사비 등 명도 관련 비용은 입찰 전에 미리 반영
❌ 유형 3. 수리비/리모델링 비용 과소평가
“생각보다 리모델링이 많이 들어가네요…” 오래된 주택이나 공실이던 물건은 수리비가 수백만 원~수천만 원까지 들 수 있어요.
- ✔️ 현장조사 필수 (사진만 보고 판단 금지)
- ✔️ 견적을 받아보고 입찰가 산정에 포함할 것
❌ 유형 4. 시세 확인 없이 낙찰가만 집중
“싸다고 생각했는데… 알고 보니 시세보다 비싸게 샀다?” 감정가는 실제 시세와 다를 수 있어요. 특히 지방이나 특수물건은 감정가가 과대 산정된 경우도 많습니다.
- ✔️ 실거래가, 인근 매물 시세는 필수로 비교
- ✔️ ‘감정가 기준’이 아니라 ‘시세 기준’으로 판단
❌ 유형 5. 감정만 믿고 서류 준비 부실
“입찰서 서명 안 했다고 무효?!” 입찰은 법적인 절차이자 문서 싸움입니다. 단 한 줄의 실수로 낙찰이 무효가 되는 경우도 많아요.
- ✔️ 입찰서 정확히 작성 (사건번호, 성명, 금액, 서명)
- ✔️ 보증금 금액, 이체 시점, 수표 확인 철저히
📢 실전 팁: 실패를 피하는 자세
- ✔️ 입찰 전에 체크리스트로 최종 점검
- ✔️ 입찰가 설정 시 ‘최대 한도 금액’을 반드시 정해둘 것
- ✔️ 마음에 드는 물건이라도 냉정하게 권리분석 먼저!
🔚 마무리하며
경매에서 실패는 대부분 ‘몰라서 생기는 실수’입니다.
준비, 체크, 검토 이 세 가지만 지켜도
초보자도 충분히 안전하게 입찰에 성공할 수 있어요.
다음 글에서는 ‘경매 vs 공매, 무엇이 다를까?’를 소개할게요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:)